분류 전체보기25 칸트의 판단력비판에 대하여 1. 칸트의 판단력비판의 배경 판단력 비판( Kritik der Urteilskraft)은 이마누엘 칸트가 1790년에 출간한 철학책이자 그의 비판 철학의 세 가지 주요 작품 중 마지막 작품으로, 철학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이 작품의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칸트의 두 가지 이전 작품, 과 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1-1 순수이성비판: 칸트의 은 인간의 인식능력, 지식의 근본, 그리고 인간의 이성이 주어지지 않은 것들에 대한 인식의 한계를 다룹니다. 인간은 경험적 대상을 이해하거나 인식하기 위해 원인과 결과 같은 순수 개념을 사용한다는 주장을 펼쳤습니다. 칸트는 이를 통해 철학의 몇 가지 전통적인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했습니다. 1-2 실천이성비판: 은 도덕적 존재로서 인간의 이성과 행동 .. 2023. 7. 16. 칸트의 실천이성비판에 대하여 실천이성비판(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이 저서는 에 뒤이어 나온 책으로, 1788년 처음 출간되었으며 칸트의 3개의 비판서 중 두 번째 책이며, 이 책에서 그는 도덕철학을 다루고 있습니다. 의무론의 입장에 선 도덕 철학자라면 모두 이 을 기본적인 참고도서로 삼았을 만큼 영향력있는 저술입니다. 이 두 번째 "비판"은 이후의 윤리학과 도덕 철학 분야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습니다. 칸트의 실천이성비판은 그의 도덕철학의 핵심 논리로 출발합니다. 그는 경험이 아닌 이성만이 도덕의 근거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칸트는 이러한 주장을 토대로 이성에 의한 도덕 이론을 제시하였으며, 그의 도덕철학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실천이성비판에서는 칸트가 '카테고리컬 명제'라는 개념을 .. 2023. 7. 14.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에 대하여 순수이성비판(Kritik der reinen Vernunft) 칸트의 "첫 번째 비판"으로 언급되기도 하는 이 저서는 이 후에 나온 "실천 이성 비판"과 "판단력 비판"까지를 포함해서 생긴 말입니다. 이 책은 칸트가 1781년에 초판을 출간하고, 제2판을 1787년에 출간했으며, 철학 역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저서 중 하나로 평가됩니다. 칸트는 이 책에서 형이상학을 하나의 학문(science)으로서 정립하려고 하였습니다. 칸트는 "순수이성비판"을 출판하여 전통적인 형이상학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 독일의 주도적인 이상주의자이기도 합니다. 이에 따라 그는 이해능력의 한계에 대한 비판을 제시하며 이성과 감정, 경험과 인식의 이중적인 구조를 구분하였습니다. 첫째, 칸트는 이성에서 유도되는 인식은 이성의 형식인.. 2023. 7. 13. 쇼펜하우어의 행복론에 대하여 쇼펜하우어의 행복론 아르투르 쇼펜하우어의 행복론은 인간의 욕망과 불행한 삶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인생에서 행복을 찾아가는 과정을 탐구한 철학입니다. 쇼펜하우어의 행복론은 주로 그의 대표작인 "세계와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에서 드러납니다. 그의 철학은 보편적인 인간의 삶과 고통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펼쳐집니다. 그는 욕망과 의지에 의해 우리 인간들이 인생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끊임없이 애쓰고, 이렇게 이루어진 행복이 오직 잠깐 머무르다 사라지는 순간적인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쇼펜하우어의 행복론은 인간의 욕망 충족의 원리에 깊게 관련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 인간의 본질적인 욕망이 불행의 원천 쇼펜하우어가 인간의 본질적인 욕망이 불행의 원천이라고 주장하는 이유는, 인간의 삶은.. 2023. 7. 11. 이전 1 2 3 4 5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