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25 <장자>와 <도덕경>에 대하여 장자의 사상사적 위치 중국, 한국, 일본에서는 전통적으로 유교와 불교와 도교가 정신적 기둥이 되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유교와 도교는 동양 사상사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는 양대산맥으로 꼽힙니다. 윤리와 실용을 강조하는 유교의 가르침을 '양'이라 한다면, 좀더 신비한 내면을 강조하는 도교의 가르침을 '음'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둘은 서로 배척하는 관계가 아니라 보완하는 관계로 조화와 균형을 이상으로 삼는 동양인의 정신적 필요에 부응해 온 셈입니다. 이 중에서도 일반적으로 도교라 하는 것은, 엄격하게 따져, '도가 사상'과 '도교 신앙'으로 양분할 수 있습니다. 도가 사상이 인간의 내면적 초월과 자유를 추구한 것이라면, 도교 신앙은 주로 육체의 장생불사를 우선으로 생각한 것입니다. 도가 사상의 근간은 .. 2023. 7. 28. 니체의 사상에 대하여 니체의 사상 니체의 철학은 다양한 주제를 아우르며 복잡하고 포괄적인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니체의 주요 개념과 사상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1. "힘에의 의지" (Wille zur Macht): "힘에의 의지"란 일반적으로 우리의 행동과 의지력을 원천적으로 구동하는 에너지 또는 동력을 가리킵니다. 이 개념은 니체가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고, 인간 행동의 원천을 분석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니체는 "힘에의 의지"가 인간의 욕망, 욕구, 야망, 창조력, 지배 욕망 등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러한 힘의 축적이 인간의 삶의 원동력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니체에 따르면, 인간의 힘에의 의지는 단순히 생존 욕구나 욕망을 넘어서며, 더 높은 차원의 의미와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힘은 인간의 창조력, 예.. 2023. 7. 24. 쇼펜하우어의 윤리학에 대하여 쇼펜하우어의 윤리학 쇼펜하우어의 윤리학은 그의 철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인간의 본질에 기반한 악의 원인, 고통을 증폭시키는 원인인 인간의 욕망, 쇼펜하우어의 윤리적 핵심 가치 중 하나인 자비심, 그리고 철학자로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 중 하나인 진실에 대한 관점을 포함하고 있는바, 이해를 돕기 위해 4가지 주제로 구분하여 설명하겠습니다. 1. 인간의 본질에 기반한 악의 원인 쇼펜하우어는 인간의 본질에 기반한 악의 원인을 탐구한 철학자입니다. 그의 철학에서 인간의 본질은 종종 이기심, 질투, 탐욕 등 부정적인 측면을 드러내며 도덕적 퇴보와 악의 원인이 된다고 여겼습니다. 쇼펜하우어는 이러한 악의 근원과 관련하여 두 가지 주요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첫째, 쇼펜하우어는 인간의 이기적 본성이 악의 .. 2023. 7. 22. 쇼펜하우어의 생애와 철학에 대하여 1. 쇼펜하우어의 생애 1-1 초기 생애 1788년 2월 22일 상인이었던 아버지 하인리히 플로리스 쇼펜하우어와 소설가인 어머니 요한나 쇼펜하우어의 장남으로 유럽의 항구 도시인 단치히에서 출생했습니다. 아버지는 쇼펜하우어가 여러 국가의 다양한 문화와 경험에 대한 세계적인 시각을 갖도록 길러주려고 했습니다. 어린 시절 독일, 영국, 프랑스를 여행하며 성장한 그는 1805년 함부르크 상인 학교에서 교육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1-2 교육 및 학문 쇼펜하우어 아버지의 죽음 후 어머니와의 갈등을 겪으면서 1809년 괴팅겐대학교에 입학해 의학과 천문학을 공부합니다. 1811년에 베를린 대학교로 옮겨가 심리학, 철학을 배우며 철학자로서의 기초를 다져나갑니다. 그 사이에 를 발표합니다. 이 작품은 쇼펜하우어가 1813.. 2023. 7. 20. 이전 1 2 3 4 ··· 7 다음